생명보험회사·생명보험대리점·생명보험중개사 또는 손해보험회사·손해보험대리점·손해보험중개사에 소속되어 제3보험계약의 체결을 중개하는 사람
·상해보험 ·질병보험 ·간병보험
등록요건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이 보험설계사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보험업법 시행령」 별표 3 제1호 참조).
신규등록의 경우: 생명보험·손해보험·제3보험 모집에 관한 연수과정을 이수한 사람(시험 합격 및 교육 이수)
경력등록의 경우: 생명보험·손해보험·제3보험 관계 업무에 1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등록신청일부터 3년 이내에 해당 업무에 종사한 사람으로 한정)으로서 「보험업법 시행령」 별표 4에 따른 교육을 이수한 사람
법인보험대리점의 소속 보험설계사가 되려는 경우: 개인인 생명보험대리점·손해보험대리점·제3보험대리점의 등록요건을 갖춘 사람
법인보험중개사의 소속 보험설계사가 되려는 경우: 개인인 생명보험중개사·손해보험중개사·제3보험중개사 등록요건을 갖춘 사람
① 신규등록은 연수과정을 이수한 사람이 보험설계사로 등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연수과정을 이수한 사람은 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춘 사람을 말합니다[「보험업감독규정」(금융위원회 고시 제2023-35호, 2023. 6. 27. 발령, 2023. 7. 1. 시행) 제4-3조제1항 참조].
교육 이수 요건을 충족한 날부터 1년 이내에 시험 합격 요건을 충족하였거나 시험 합격 요건을 충족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교육 이수 요건을 충족하였을 것
※ 보험설계사가 되려면 보험모집에 관한 교육을 이수해야 하며, 해당 보험 관계 업무에 1년 이상 경력이 없는 경우 자격시험에 합격한 후 보험협회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계 경력이 없는 자가 신규등록을 하려면 자격시험 합격이 필요합니다(「보험업법 시행령」 별표 제1호 참조).
보험설계사 시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① 생명보험협회 자격시험센터(exam.insure.or.kr)-보험설계사-시험안내-시험개요 및 ② 손해보험협회 모집종사자 관리센터(isi.knia.or.kr)-이용안내-FAQ "보험설계사 자격시험 안내 및 합격자조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보험업법」에 따라 보험설계사·보험대리점 또는 보험중개사의 등록이 취소(1. 또는 2.에 해당하여 등록이 취소된 경우는 제외)된 후 2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
6. 위 5.에도 불구하고 「보험업법」에 따라 보험설계사·보험대리점 또는 보험중개사 등록취소 처분을 2회 이상 받은 경우 최종 등록취소 처분을 받은 날부터 3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
7. 「보험업법」 또는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과태료 또는 과징금 처분을 받고 이를 납부하지 않거나 업무정지 및 등록취소 처분을 받은 보험대리점·보험중개사 소속의 임직원이었던 사람(처분사유의 발생에 관하여 직접 또는 이에 상응하는 책임이 있는 자로서 직무정지 이상의 조치를 받은 임원 또는 정직 이상의 조치를 받은 직원이거나 위에 따른 제재를 받기 전에 사임 또는 사직한 사람만 해당)으로서 과태료·과징금·업무정지 및 등록취소 처분이 있었던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
8. 영업에 관하여 성년자와 같은 능력을 가지지 않은 미성년자로서 그 법정대리인이 위 1.부터 7.까지의 규정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9. 법인 또는 법인이 아닌 사단이나 재단으로서 그 임원이나 관리인 중에 위 1.부터 7.까지의 규정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이 있는 자
10. 이전에 모집과 관련하여 받은 보험료, 대출금 또는 보험금을 다른 용도에 유용(流用)한 후 3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
보험설계사 등록은 신청서류를 갖추어 해당 보험협회의
보험회사등은 소속 보험설계사가 되려는 사람의 등록을 다음의 구분에 따른 협회의 장에게 신청해야 합니다(「보험업법」 제84조제1항, 제194조제1항, 「보험업법 시행령」 제27조제4항, 「보험업감독규정」 제4-1조제1항 및 별지 제7-2호서식).
구 분
협회의 장
생명보험업 또는 생명보험업 및 제3보험업을 영위하는 보험회사등
생명보험협회의 장
손해보험업 또는 손해보험업 및 제3보험업을 영위하는 보험회사등
손해보험협회의 장
제3보험업을 영위하는 보험회사등
생명보험협회의 장 또는 손해보험협회의 장
이 정보는 2023년 8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